콘라트 게스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라트 게스너는 16세기 스위스의 박식가이자,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 삽화가였다. 그는 근대 동물학의 효시로 여겨지는 《동물지》를 저술했으며, 식물학, 언어학, 서지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70여 편의 저서를 남겼다. 게스너는 1545년 서지학 역사에 획기적인 저서인 《Bibliotheca universalis》를 출판하여 '서지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1753년 칼 폰 린네는 그의 업적을 기려 튤립의 한 종을 게스너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그는 흑사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스위스 프랑 지폐에 초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콘라트 게스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콘라트 게스너 |
출생 | 1516년 3월 26일 |
출생지 | 취리히, 스위스 연방 |
사망 | 1565년 12월 13일 |
사망지 | 취리히, 스위스 연방 |
안장 장소 | 그로스뮌스터, 취리히 |
국적 | 스위스 |
학문 분야 | |
분야 | 식물학, 동물학, 서지학 |
알려진 업적 | Bibliotheca universalis 및 |
교육 기관 | Carolinum, Zürich |
모교 | 바젤 대학교, 몽펠리에 대학교 |
기타 | |
약어 (식물) | Gesner |
2. 생애
스위스 취리히 출신의 콘라트 게스너(1516년 3월 26일 ~ 1565년 12월 13일)는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박식가이다. 그는 의사, 철학자, 백과사전 편찬자, 서지학자, 고전어학자, 박물학자이자 삽화가로서 다방면에 걸쳐 활동했다.
어린 시절 가난했지만, 주변의 도움으로 취리히, 프랑스, 바젤 등지에서 고전 언어, 신학, 의학 등을 공부했다. 특히 약초에 대한 초기 경험은 평생 자연사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다. 1537년 로잔 아카데미의 그리스어 교수를 거쳐 1541년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고향 취리히에서 의사이자 카롤리นม 강사로 활동했으며, 1554년부터는 시립 의사( Stadtarztde )로 일했다.
게스너의 연구는 직접적인 관찰, 해부, 광범위한 여행, 정확한 기록을 중시하는 실증적인 접근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당시 학계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다른 새로운 시도였다. 그는 여행과 서신 교환을 통해 방대한 동식물 정보를 수집했으며, 특히 알프스 탐험을 통해 식물학 연구에 기여했다. 1543년에는 아르놀두스 아를레니우스의 초대로 베네치아를 방문하여 인쇄술과 그리스 필사본을 접하기도 했다.[1][2]
그의 대표작 『동물사』(Historia animaliumla)는 고대부터 당대까지의 동물 지식을 집대성하여 근대 동물학의 기초를 마련했다. 또한 갈색쥐, 기니피그, 칠면조, 튤립 등을 유럽에 처음 소개하고, 갈색 지방 조직, 연필, 담배의 효과[3] 등에 대한 최초 기록을 남겼다.
종교 개혁 시기 프로테스탄트 신자였던 게스너의 저작은 금서 목록에 오르기도 했으나, 그의 학문적 권위는 널리 인정받아 가톨릭 학자들과도 교류했다.
1565년 취리히의 페스트 유행 당시 시의로서 환자를 돌보다 감염되어 사망했으며, 취리히 대성당에 묻혔다. 그의 업적을 기려 스위스 프랑 지폐에 초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콘라트 게스너는 1516년 3월 26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가난한 모피상 우르수스 게스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1531년 카펠 전투에서 사망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의 재능을 알아본 주변의 도움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특히 생계를 위해 약초를 재배하고 수집하던 큰아버지와 함께 살면서 많은 식물과 그 약용 목적에 대해 배우게 되었고, 이는 평생 자연사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이어졌다.게스너는 취리히의 캐롤리넘과 프라우뮌스터 신학교에서 고전 언어를 공부했다. 그의 스승이었던 오스발트 뮈코니우스와 하인리히 불링거 등은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덕분에 그는 1532년부터 1533년까지 프랑스로 유학하여 부르주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당시 프랑스 내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종교적 박해로 인해 스트라스부르로 피신했다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다시 취리히로 돌아왔다. 이후 스승들의 도움으로 스트라스부르의 상급 학교(훗날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히브리어를 배우며 고대 언어 지식을 넓혔다.
1535년, 종교적 불안이 계속되자 다시 취리히로 돌아왔고, 19세의 나이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여성과 결혼했다. 잠시 교사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하던 그는 친구들의 도움과 후원으로 1536년 바젤 대학교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할 기회를 얻었다.
1537년에는 로잔의 아카데미(훗날 로잔 대학교)에서 그리스어 교수로 임명되어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연 과학, 특히 식물학 연구에 몰두할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1540년 교수직을 사임하고, 당시 의학으로 명성이 높았던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교 의학부에서 수학했다. 1541년 바젤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고향인 취리히로 돌아와 취리히 대학교의 전신인 학교에서 철학, 수학, 자연 과학, 윤리학 등을 강의하며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1543년에는 학자 아르놀두스 아를레니우스의 초대로 이탈리아 베네치아를 방문하여, 당시 발전했던 베네치아의 인쇄술과 희귀한 그리스어 필사본들을 접하며 학문적 견문을 넓혔다.[1][2] 게스너는 평생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지켰으며, 그의 학문 활동은 이러한 종교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2. 2. 결혼과 초기 경력
1535년, 프로테스탄트 박해를 피해 취리히로 돌아와 결혼했으나, 아내가 병약하고 자녀가 없어 불행한 결혼 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 1536년 오스발트 뮈코니우스의 도움으로 다시 바젤로 유학을 떠났다. 1537년에는 로잔 아카데미의 그리스어 교수로 임용되어 자연 과학, 특히 식물학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1540년 교수직을 그만두고 당시 명성이 높았던 몽펠리에 대학교 의학부에서 공부했으며, 1541년 바젤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취리히 대학교에서 철학, 수학, 자연 과학, 윤리학 등을 가르치며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몇 차례 해외 여행과 고향에서의 식생 조사를 제외하고는 평생 취리히에서 머물렀다.
2. 3. 의학 공부와 취리히 정착
1536년, 친구들의 도움과 오스발트 뮈코니우스의 지원으로 유급 휴가를 얻어 바젤 대학교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1537년에는 로잔 아카데미의 그리스어 교수로 임명되어 잠시 학업을 중단하고 가르치는 일에 집중하며 자연 과학, 특히 식물학 연구에 몰두할 시간을 가졌다.그러나 의학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고 1540년 교수직을 사임한 뒤, 당시 의학으로 명성이 높았던 몽펠리에 대학교 의학부에서 공부를 이어갔다. 1541년, 바젤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고향인 취리히로 돌아와 정착했다. 그는 취리히 대학교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기관에서 철학, 수학, 자연 과학, 윤리학 등을 가르치며 본격적인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
게스너는 평생 자연사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여러 차례의 해외 여행과 고향에서의 식생 조사를 통해 연구를 이어갔다. 1543년에는 아르놀두스 아를레니우스의 초대로 베네치아를 방문하여 당시 발전하던 인쇄술과 접하고, 숨겨져 있던 그리스어 필사본들을 접할 기회를 가졌다.[1][2] 그의 연구 방식은 직접적인 관찰, 해부, 먼 지역으로의 여행, 그리고 정확한 기록이라는 네 가지 요소에 기반했으며, 이는 르네상스 시대 학자들에게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었다. 당시 학자들은 주로 고전 저술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취리히에 정착한 이후, 그는 몇 차례의 여행을 제외하고는 평생 그곳에서 연구와 강의에 매진했다. 1564년 선 페스트가 취리히에 크게 유행하자, 그는 시의(市醫)로서 환자 치료에 헌신적으로 임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자신도 페스트에 감염되어, 황제로부터 귀족 작위를 받은 다음 해인 1565년 12월 13일에 사망했다. 그는 취리히 대성당 회랑에 묻혔다. 그의 업적을 기려 1978년 발행된 50 스위스 프랑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2. 4. 말년과 죽음
1541년 바젤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취리히 대학교에서 철학, 수학, 자연 과학, 윤리학을 강의하며 연구 생활을 시작했다. 몇 차례의 해외 여행과 고향에서의 식생 조사를 제외하고는 평생을 취리히에서 보냈다. 1564년 선 페스트가 유행하자, 시의(市醫)로서 최전선에서 환자 치료에 힘썼으나, 자신도 1565년에 페스트로 쓰러져 사망했다. 그는 취리히 대성당 회랑에 묻혔다. 1978년 발행된 50 스위스 프랑 지폐에는 게스너의 초상이 사용되었다.3. 주요 업적
콘라트 게스너는 르네상스 시대의 박식가로, 의학, 철학, 백과사전 편찬, 서지학, 고전학, 박물학 등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특히 서지학, 동물학, 식물학, 언어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현대 서지학의 기초를 놓은 ''Bibliotheca universalis''(1545), 동물 정보를 집대성한 Historiae animaliumla(1551–1558), 사후 출판된 식물학 저서 Historia Plantarumla 등이 있다. 또한, 여러 언어를 비교 연구한 저서 Mithridates. De differentiis linguarum [...]la(1555)를 통해 비교언어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 외에도 유럽에 알려지지 않았던 동식물을 기록하고, 등산을 즐기고 관련 기록을 남기는 등 폭넓은 활동을 펼쳤다.
3. 1. 서지학
1545년, 4년간의 연구 끝에 게스너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Bibliotheca universalis''를 출판했다. 이 책은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로 쓰인, 당시까지 알려진 모든 작품들을 망라한 포괄적인 목록으로, 약 3,000명에 달하는 저자들의 이름과 저서 제목, 간략한 주석을 담고 있었다. 총 12,000여 개의 제목이 포함되었으며, 자신의 저서 목록도 함께 실었다. 이 책은 약 3,000명의 저자에 의한 그리스어·라틴어·히브리어 문헌 약 12,000권을 수록한 대작이었다.''Bibliotheca universalis''는 인쇄술이 발명된 이후 출판된 최초의 현대적 서지로 평가받는다. 이 책을 통해 게스너는 "서지학의 아버지"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특히 "bibliotheca"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서지의 의미로 사용한 점, 서문에서 조사 장소와 참고 문헌을 명시한 점, 저자를 기존의 연대순이 아닌 이름순으로 배열한 점, 출판 정보(출판사, 판형, 페이지 수 등)를 상세히 기술한 점 등은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시도였다.[8]
1548년에는 이 책의 주제별 색인에 해당하는 ''Pandectarum sive partitionum universalium libri xxi''가 출판되었다. 제목은 21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예정임을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19권만 포함되었다. 이 책에서 게스너는 학문 전체를 교양 학문(Praeparanteslat)과 실체 학문(Substantialeslat)으로 크게 나누었다. 전자는 필수(문법, 변론, 수사, 시, 산술, 기하, 음악, 천문, 점성술)와 선택(역사, 지리, 점술, 예술)이라는 13개 분야로, 후자는 물리, 형이상학, 윤리, 경제, 정치, 법률, 의학, 신학의 8개 분야로 나누어 총 21개 분야로 분류했다.[8] 원래 계획했던 제20부(의학)는 완성되지 못했고, 제21부(신학 백과사전)는 1549년에 별도로 출판되었다. 이러한 게스너의 서지 편찬 작업은 이후 요지아스 짐러에게 계승되었다.
3. 2. 동물학


게스너의 주요 동물학 저술은 ''Historiae animalium''이다. 이 책은 1551년부터 1558년까지 취리히에서 총 4권으로 출판된 4,500페이지 분량의 동물 백과사전으로, 사지동물, 양서류, 조류, 어류를 다루었다. 뱀에 관한 다섯 번째 권은 1587년에 사후 출판되었으며, 1563년에는 첫 4권의 독일어 번역본인 ''Thierbůch''가 취리히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최초의 현대 동물학 저서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고대, 중세, 그리고 현대 과학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Historiae animalium''에서 게스너는 구약성서, 아리스토텔레스, 플리니우스와 같은 고대 문헌, 민간 전승, 중세의 동물 우화집 등 기존 자료와 자신의 관찰 결과를 종합하여 동물의 왕국에 대한 새롭고 포괄적인 설명을 시도했다. 그는 관찰된 사실과 신화 및 오류를 구별하려 노력했으며, 많은 동물을 정확하게 묘사하고자 했다. 특히 당시 다른 저술들과 달리, 게스너와 동료들이 직접 관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린 손으로 채색된 목판화 삽화가 풍부하게 수록된 점이 특징이다.
비록 많은 동물을 정확하게 묘사했지만, 게스너는 중세 동물 우화집 등에서 전해들은 유니콘이나 바실리스크 같은 상상 속 동물들도 포함시켰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전달하는 정보나 삽화의 확실성에 의문이 들 때는 그 점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동물의 실용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도덕적 교훈과 종교적 의미에도 관심을 가졌다. 1556년에는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아누스의 저작 편집본에서도 실제 동물과 상상 속 동물을 함께 다루었다.
''Historiae animalium''의 완성에는 유럽 전역의 주요 박물학자들과의 교류가 큰 도움이 되었다. 영국의 궁정 의사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곤빌 앤드 카이우스 칼리지의 공동 설립자인 존 케이우스 같은 학자들이 게스너에게 아이디어나 동물, 식물, 보석 표본 등을 보내왔다. 게스너는 이에 대한 보답으로 식물 이름에 동료나 친구들의 이름을 붙여주기도 했다.
또한 게스너는 유럽에서 갈색쥐 (''Rattus norvegicus''), 기니피그 (''Cavia porcellus''), 칠면조 (''Meleagris'')[3] 등을 처음으로 학술적으로 묘사한 인물로 여겨진다. 그는 1551년 갈색 지방 조직을 처음으로 기술하기도 했다.
3. 3. 식물학
로잔 아카데미의 그리스어 교수 시절(1537-1540) 동안 게스너는 과학 연구, 특히 식물학에 전념할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는 의학 연구 자금을 마련하면서 식물학 연구에 몰두했다. 이후 취리히에서 의사로 활동하면서도 외국 여행과 매년 여름 스위스에서의 식물학 여행을 통해 연구를 이어갔다.그의 탐험은 종종 설선 아래의 산악 지대를 방문하는 것을 포함했는데, 이는 주로 식물학적 수집을 위한 것이었지만, 운동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기 위한 등산을 즐기기도 했다. 1541년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산에서 발견되는 경이로움에 대해 이야기하며, 매년 적어도 하나의 산을 오르겠다는 결심을 밝혔는데, 이는 꽃을 수집할 뿐만 아니라 몸을 단련하기 위함이었다. 1555년에는 필라투스 산 등반 기록인 ''Descriptio Montis Fracti sive Montis Pilati''를 출판하기도 했다.
게스너는 튤립(''Tulipa gesneriana'')을 유럽에 처음으로 묘사한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1559년 4월 아우크스부르크의 한 정원에서 튤립을 보고 이를 터키 튤립, 즉 ''Tulipa turcarum''이라고 불렀다.

생전에 그는 두 권의 식물학 저서, ''Historia plantarum et vires''(1541)와 4개 언어(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쓰인 『식물명목록』 ''Catalogus plantarum''(1542)를 출판했다. 식물명에 대해 고전어와 당시 언어를 비교 대조하면서 문헌학이나 언어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평생 동안 상당한 양의 식물과 씨앗을 수집하고 방대한 메모와 목판화를 제작했으며,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주요 식물학 저서인 ''식물학''(식물지)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이 저서는 약 1,500점의 식물 판화를 포함했으며, 대부분 게스너 자신이 직접 그린 독창적인 것이었다. 그는 식물의 특징을 설명하는 상세한 그림과 함께 성장 형태, 서식지 등을 논의하는 광범위한 주석을 달았다. 당시 이러한 규모와 과학적 엄격함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비록 완성 전에 사망했지만, 그의 자료는 이후 2세기 동안 많은 다른 저자들에 의해 활용되었고, 마침내 1751-1771년에 뉘른베르크에서 출판되었다.
3. 4. 언어학
콘라트 게스너는 언어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1537년, 21세의 나이에 라틴어-그리스어 사전인 ''Lexicon Graeco-Latinum''을 출판했다. 이 사전의 출판은 그가 로잔 아카데미의 그리스어 교수로 임명되는 계기가 되었다.[1]게스너는 식물학 연구 과정에서도 언어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1542년에 출판한 『식물명목록』(''Catalogus plantarum'')에서는 식물 이름을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비교하고 대조하며 문헌학과 언어학에 대한 관심을 키워나갔다.
이러한 관심은 1555년에 저술한 『미트리다테스, 언어의 차이에 관하여』(''Mithridates. De differentiis linguarum [...]'')로 이어졌다. 이 책에서 게스너는 당시 알려진 55개의 언어를 비교 연구하며 비교언어학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 이는 여러 언어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3. 5. 기타 업적
게스너는 과학 외적인 분야에서도 여러 활동과 기록을 남겼다. 그는 등산가로도 알려져 있는데, 식물 조사를 위해 산에 오르기도 했지만, 순수하게 운동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기기 위해 등산을 했다고 전해진다.[3] 1541년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산에서 발견되는 경이로움에 대해 이야기하며 매년 적어도 하나의 산을 오르겠다는 결심을 밝히기도 했다. 1555년에는 필라투스 산[9]맥의 그네프슈타인(1920 m) 등반 경험을 담은 Descriptio Montis Fracti sive Montis Pilatila를 출판했다.또한 여러 동식물과 사물을 유럽에 처음 소개하거나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갈색쥐 (''Rattus norvegicus''), 기니피그 (''Cavia porcellus''), 칠면조 (''Meleagris'')와 같은 동물이 대표적이다. 식물 중에서는 튤립 (''Tulipa gesneriana'')을 1559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처음 보고 '터키 튤립'이라는 의미의 Tulipa turcarumla이라고 이름 붙였다. 그는 1551년 갈색 지방 조직을 처음으로 묘사했으며, 1565년에는 연필을 처음 기록했고, 1563년에는 담배의 효과에 대해 글을 쓴 최초의 유럽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3] 특히 야외에서 필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해 가는 나무 막대기 끝에 흑연을 채워 사용했는데, 이것이 연필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언어학 분야에서도 관심을 보여, 1555년에 저술한 『미트리다테스』에서는 당시 알려진 55개 언어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비교언어학의 초기 형태를 제시하기도 했다.
4. 유산
게스너의 대표작 중 하나인 《동물의 역사》(Historia animaliumla)가 출판될 당시 유럽은 극심한 종교적 긴장 상태에 있었다. 교황 바오로 4세 치하의 바오로 금서 목록은 저자의 종교적 신념이 그의 모든 저술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게스너는 개신교 신자였기 때문에 그의 저작 역시 금서 목록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게스너는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 모두와 우정을 유지했으며, 그의 학문적 명성은 높았다. 베네치아의 가톨릭 서적상들은 종교재판소의 게스너 저작물 금지 조치에 항의했고, 결국 그의 저작 중 일부는 교리적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허용되기도 했다.
게스너는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도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 그는 《동물의 역사》를 저술하기 위해 80명 이상의 그리스 작가, 최소 175명의 라틴 작가, 그리고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작가들의 작품을 참고했다. 그는 당시에 출판된 모든 책을 망라하는 "보편적인 도서관"을 만들고자 시도했으며, 이를 위해 바티칸 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도서관의 소장 목록과 인쇄업자, 서적상의 목록까지 샅샅이 조사했다. 게스너는 책에서 필요한 구절을 잘라내 주제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상자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정리했다. 이는 현대의 데이터베이스 개념과 유사한 방식으로, 필요할 때마다 관련 정보를 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과학 저술가 안나 파보드는 이러한 게스너의 작업을 "비판적 평가라는 추가 보너스를 가진, 16세기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4]
4. 1. 린네와 게스너
1753년 칼 폰 린네는 그의 업적을 기려 ''튤립 게스네리아나''(Tulipa gesneriana)를 ''튤립''(Tulipa) 속의 기준 종으로 명명했다.속 현화식물 ''게스네리아''(Gesneria)와 그에 속하는 게스네리아과(Gesneriaceae)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나방의 한 속인 ''게스네리아(Gesneria)''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2. 기념
게스너는 현대 과학 식물학 및 동물학의 아버지이자 현대 서지학의 아버지로 묘사된다. 그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식물학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었다. 그는 여행을 즐겼고, 자신의 정원을 관리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마도 자신의 광대한 서재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을 것이다. 그의 동시대 사람들은 게스너를 "스위스 플리니"라고 불렀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죽음을 직감했을 때, 자신의 삶의 많은 시간을 보낸 서재로 가서 가장 좋아하는 책들 곁에서 죽기를 청했다고 한다. 게스너는 사망 당시 72권의 책을 출판했고, 18권의 미출판 원고를 썼다. 그의 식물에 대한 연구는 그가 죽은 지 수 세기가 지난 후에 출판되었다.
1576년, 조지 베이커는 콘라트 게스너의 《에보니무스》(Evonymus)를 《건강의 새로운 보석, 네 권으로 나뉜 의학과 철학의 가장 훌륭한 비밀 포함》(The Newe Jewell of Health, wherein is contained the most excellent Secretes of Physicke and Philosophie divided into fower bookes영어)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여 출판했다. 그의 제자 중에는 펠릭스 플라터가 있었는데, 그는 의학 교수가 되었고, 많은 식물 표본뿐만 아니라 《동물학의 역사》(Historiae animaliumla)에 사용된 동물 그림을 수집했다. 그가 죽은 지 1년 후, 그의 친구 요시아스 심러는 게스너의 전기를 출판했다. 게스너와 다른 사람들은 취리히에 《자연 과학 연구 협회》(Physikalische Gesellschaftde)를 설립했는데, 이 협회는 나중에 1746년에 《취리히 자연 연구 협회》(NGZH)가 되어 자연 과학 연구를 장려했다. 오늘날 이 협회는 스위스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 단체 중 하나이다. 이 협회의 연간 간행물인 《취리히 자연 연구 협회 신년 논문집》(Neujahrsblatt der Naturforschenden Gesellschaft in Zürichde)은 1966년 그의 사망 400주년을 기념하여 게스너의 전기에 할애되었다.

게스너를 기리는 여러 기념물과 행사가 있다.
참조
[1]
서적
Conrad Gessner and the Mobility of the Book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
논문
La ‘Bibliotheca Universalis’ di Conrad Gesner: monumento della cultura europea
[3]
간행물
The Healthfull Aromatick Herbe
1965-12
[4]
서적
The Naming of Names: The Search for Order in the World of Plant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5]
백과사전
Conrad Gesner Swiss physician and naturalist
https://www.britanni[...]
[6]
서적
Authors of Plant Names
Royal Botanic Gardens, Kew
[7]
웹사이트
南方熊楠略年譜
http://www.minakata.[...]
南方熊楠顕彰館
2018-07-21
[8]
논문
コンラート・ゲスナーの生涯と著作
[9]
문서
竜伝説などにより、立ち入ると不幸になるとされてい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